인덱스
: 데이터의 값의 주소를 주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있는 '주소록'
인덱스 ' b-tree (일반적인 RDBMS) '
: 데아터를 빨리 찾기 위해 투플의 키 값에 대헌 물리적 위치를 기록해둔 자료구조이다.
인덱스 장점 및 단점
장점 = 검색속도가 무척 빨라질 수 있다.
= 해당 쿼리의 부하가 줄어들어서,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향상됨.
단점 = 인덱스가 데이터베이스 공간을 차지해서 데이터베이스 크기의 10% 정도의 추가 공간이 필요
= 처음 인덱스를 생성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.
= 데이터의 변경 작업(insert, update, delete)이 자주 일어날 경우에는 오히려 성능이 느려진다.
인덱스 [생성/수정/삭제]
: 자동 생성되는 것 외의 직접 생성/수정/삭제의 경우
CREATE [UNIQUE] [CLUSTERED | NONCLUSTERED] INDEX index_name(인덱스 명)
UNIQUE : 고유한 인덱스를 만들지 결정(중복값 허용 하지 않음)
CLUSTERED : 테이블당 한 개만 생성이 가능
행 데이터를 인덱스로 지정한 열에 맞춰서 자동 정렬한다.
영어사전처럼 순서대로 정렬되어있다. 인데스 자체가 내용과 같음
NONCLUSTERED : 테이블당 여러개를 생성
책 뒤에 찾아보기와 같다.
'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taBase[뷰 개념, 생성, 삭제, 수정][뷰 권한 오류] (0) | 2018.11.12 |
---|---|
트랜잭션 (0) | 2018.11.09 |
[데이터베이스 문자 함수][dual이란?] (0) | 2018.11.07 |
데이터베이스 시퀀스[정의][cmd 시퀀스 생성, 수정, 삭제] (0) | 2018.11.06 |